게시판

일본 금융시장의 불안 배경과 영향

| 조회 1912 2013.05.30 22:22

일본 10년 만기 국채금리가 1%를 넘어설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의 양적완화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판단이다. 국채금리 상승에 따른 재정악화, 수입가격 상승 에 따른 비용 인플레이션 등에 대한 부담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은행들의 총 자산 중 국 채보유비중은 25%에 이르고 있고, 이는 선진국 평균보다 5배나 많은 수준이다. 이를 감안할 때 일본 은행의 양적완화가 오히려 일본 은행들의 디 레버리징을 강화할 수도 있다. 어찌됐건 엔화 약세에 대 한 우려는 한층 완화될 것이며, ‘아베노믹스’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높아졌다.


지난 주 일본 주식시장은 13년만에 일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는 일본 국채 금리가 10년물 기준으로 주중 1% 선까지 급등세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국채 발행 급증에 대한 우려와 GDP 대비 정부부채 상승 에 따른 신용등급 하향조정 우려가 일본 국채가격 급락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지난 23일 S&P는 '아 베노믹스'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일본 국가신용등급을 강등할 가능성이 3분의 1 이상이라고 밝힌 바 있다. 

국채 금리의 급등은 양적완화를 실시한 BOJ에 매우 부담스러운 현상이다. 이는 BOJ의 유동성 공급이  지속되기에는 부작용이 클 것이라는 시장의 회의론을 시사한다. 우선 경기 부양을 위한 금융완화정책 이 ‘장기 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재정악화’와 ‘수입가격 상승에 따른 비용 인플레이션’으로 전락할 가 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BOJ의 급격한 양적완화로 장기 금리의 급등세가 지속되며 Critical Point 인 1.3%를 상향 돌파할 경우, 이는 일본 은행 및 금융기관들에게 막대한 타격이 될 것이다. 

이 경우  금융기관들의 디 레버리징이 강화되면서 엔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일본 은 행들의 국채 보유비중은 총 자산 중 25%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선진국 평균보다 5배 많은 수준이다.  이러한 구조는 재정위기가 발생할 경우, 은행위기로 전이되기 쉬운 구조이다. IMF는 지난 10월 일본  은행의 대규모 국채 보유에 대해서 경고했다. 지난 주 일본 주식시장에서 금융 업종이 최대 낙폭을 기 록했다는 점은 이러한 우려를 시사한다.

한편 디플레이션 상황을 탈피하려는 BOJ의 노력 역시 결실을 거두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일본의 대도시 기준 소비자물가의 디플레이션 상황은 오히려 강화되고 있다. 이는 임금 디플레이션 상황이 지속되 고 있기 때문이다. 디플레이션 상황은 엔화가 저평가 상황으로 진입하는 것을 제한하고 있다. BOJ의  유동성 공급 모멘텀이 약화된다면, 구매력 평가 측면에서 엔화의 추가적인 약세는 제한될 것이다.  장기적인 엔화 약세를 견인하기 위한 BOJ의 의지는 변함이 없겠지만, 유동성 공급 모멘텀은 약화되는  시점으로 판단된다. BOJ는 과하면 부족하다는 과유불급이라는 고사성어를 생각해 볼 상황이기 때문이 다. 유동성 공급 모멘텀의 둔화, 여전한 디플레이션 상황을 감안하면, 엔화는 장기 저항선인 105엔 선 의 저항을 돌파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

0 추천

실시간 의견

불러오는 중... 더보기

새 내용 확인중... 더 이상 불러올 의견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날짜
155 글로벌 경기의 차별화 - 선진국의 호조세와 이머징 시장의 부진 1745 13.07.09
154 외국인 매매, PER를 기준으로 지속 예상 1674 13.07.08
153 해외 마켓 하일라이트 1608 13.07.07
152 악재가 반영된 시장 1943 13.07.07
151 피로한 투자심리 - 기업이익과 Valuation을 보자? 1557 13.07.07
150 해외 마켓 하일라이트 1789 13.07.03
149 지수 되돌림 이후 전 저점 테스트 국면 - 저점 확인 후 박스권 장세 예상 1937 13.07.03
148 이머징 시장 사이에 디커플링이 나타날 듯 1649 13.07.02
147 누가 그러는 언론에서 빨아대는 박근혜의 중국어 실력... 1917 13.06.30
146 폭락시세와 추세적 하락 시세의 구분 필요 2042 13.06.30
145 [일일 경제분석] PBR 1배 수준에서 단기 저점 형성 가능성 1934 13.06.25
144 중국의 자금난, 여전히 통제가능한 수준. 정부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문제 2144 13.06.24
143 [주간경제] 양적완화 축소우려는 완화되고 있지만... 2706 13.06.24
142 버냉키 ‘출구전략’ 선포 - 강세장 초입의 필연적 진통 2419 13.06.19
141 Fed에게 부담요인은? 20%의 Under Water와 모기지 금리의 상승 1581 13.06.19
140 일본 금융시장의 불안 배경과 영향 1912 13.05.30
139 1분기 기업실적 - 양호한 기업실적 예상 1637 13.05.30
138 출구전략에는 여전히 시간이 필요 - 과도한 우려는 불필요 1986 13.05.22
137 금(金), 당분간 약세 예상 1993 13.05.21
136 선진국과 신흥국의 경기회복 차별화 1612 13.05.21

새 글쓰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