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이베노믹스의 한계 - 소비세 인상 결정과 일본 정부의 딜레마

| 조회 1830 2013.08.12 20:24

향후 엔화 상승 모멘텀 약화될 듯 
전일 니케이 225 지수는 2/4분기 GDP에 대한 실망감으로 0.7% 하락했다. 일본 2/4분기 GDP는 전분기대비 0.6%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4 분기 0.9% 성장률 및 시장 기대치였던 0.9%를 하회하는 결과였다. 엔화 약세에 따른 수출 호조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경제성장이 예상을 밑도는 이 유는 설비투자가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기 때문이다. 2/4분기 기업 설비투자 는 예상외로 0.1% 감소해 6분기 연속 마이너스 권을 지속했다.
일본 정부는 2/4분기 GDP 결과를 토대로 10월에 기존 5%의 소비세를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8%와 10%로 인상할지를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 다. 현재의 상황은 일본 정부에게 엔화 약세를 통한 경기부양화 혹은 재정  건전화 측면 모두에서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우선 소비세 인상에도 불구하 고 내수부문이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려면, 설비투자 및 이에 따른 임금 상 승이 나타나야 한다. 더욱이 일본 정부는 소비세 인상에 따른 악몽을 가지 고 있다. 1997년 4월 일본 정부는 소비세를 3%에서 5%로 인상했다가, 1/4 분기 0.7% 성장했던 GDP가 2/4분기에 -0.9%로 급격하게 위축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엔화의 추세적 약세를 제한할 것으로 전망된다. 만약 소비세 인상이 지연된다면, 일본 정부부채가 1,000조 엔을 돌파한 상황에 서 국제 신용평가사들의 일본 국채 신용등급 하향조정 압력이 거세질 것이고, 국채 금리 상승 위험에 따라 엔화 약세유도를 위한 BOJ의 유동성 공급 모멘텀은 이전보다 완화될 것이다.

1997년 소비세 인상이  일본 경제 및 엔/달러  환율에 미친 영향은?
만약 설비투자 회복에 따른 임금상승이 나타나지 않은 가운데 소비세 인상으로 내수위축이 발생한다면, 일본 내 디레버리징이 강화될 것이고 이는 엔화 강세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소비세 인상여파로 일본 경기침체가 나타난 1997년 2/4분기 중 엔/달 러 환율은 4월 30일 127.14엔을 고점으로 6월 11일 111.06엔으로 급격히 절상되었 다.

따라서 엔/달러 환율은 향후 추세적인 흐름을 나타내기 보다는 이전 저점수준인 95엔과 저항선인 105엔 선에서의 박스권 흐름에서 당분간 벗어나기는 힘들어 보인다.

일본,  설비투자의 빠른 회복  나타나기 힘들 듯
물론 설비투자가 빠르게 재개된다면, 일본 정부는 운신의 폭이 넓어질 것이고 이에 따라 엔/달러 환율의 추가적인 상승 기대감이 확대될 수 있다. 하지만 기업 설비투자 의 선행지표인 기계수주의 부진추세 지속은 이러한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또한 2/4 분기 일본 기업들의 실적이 호조세를 나타냈지만, 판매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 도 공격적인 설비투자가 나타날 가능성을 제한하고 있다.

운수장비 업종에 대한  외국인 매수세
국내 주식시장 측면에서는 엔/달러 환율이 하락전환하기 시작한 7월 초 이후 운수장비 업종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전일 시장 매도에도  불구하고 차별적인 매수우위를 나타냈다는 점에 주목할 시점으로 판단된다.



국내증시 마감시황 - KOSPI, 투신·연기금 매수세로 소폭 상승 마감 
12일 KOSPI는 전일대비 4.12pt(+0.22%) 상승한 1,884.83pt로 마감했다. 중국 증시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양적완화 축소 이슈로 외국인은 5 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나타 냈으나, 투신과 연기금의 매수세로 지수는 소폭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거래대금도 적 었고 관망세가 짙었다. 전일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07억원, 586억원 순매도를 보인  반면, 기관은 961억원 순매수를 나타냈다. 프로그램 매매에서 차익거래는 -188억원,  비차익거래는 -641억원을 기록하면서 총 828억원 순매도를 보였다.

경기민감주 강세 
업종별로는 철강금속, 기계, 운수창고, 화학 등이 상승했고 의약품, 보험, 금융업, 음식료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POSCO(+1.69%), 현대제철 (+1.81%) 철강주가 강세를 나타냈다. 기관은 소재, 산업재와 같은 경기민감주 뿐 아 니라 반도체, 하드웨어 업종에도 순매수를 보였다. 외국인의 IT 업종에 대한 매도세는  이어졌으며, 자동차 및 부품, 화학, 금속 및 광물 업종에 매수 우위를 나타냈다. 한편,  중국 경제 지표 호조에 따른 비철금속 가격 상승으로 고려아연(+6.92%)  상승했다.



뉴욕증시 마감시황 - 양적완화 축소 우려 및 일본 경제 성장률 부진 
12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양적완화 축소 우려와 일본 성장률 부진 등으로 혼조로 마감했다. 개장 전, 일본 2/4분기 GDP가 시장예상치에 미치지 못했고, 독일 중앙은 행이 내년 초 그리스의 추가 구제금융 가능성을 시사해 지수 상승에 부담으로 작용했 다. 7월 미국 연방정부의 재정적자는 시장예상치 960억달러를 소폭 상회한 976억달러 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3년 회계연도 누적 적자는 6,074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8% 감소했다. 이날 에너지, 유틸리티주가 약세를 보인 반면, 기술주의 강세가 두드 러지면서 나스닥 지수는 강보합을 기록했다.

중국증시 마감시황 - 상하이종합지수, 경기민감주 강세에 2,100pt선 상회마감.  
상하이종합지수는 전일 대비 2.39% 상승한 2,101.28pt로 마감했다. 오전 장, 증시는 비철금속, 석탄, 금융 등 경기민감주의 급등에 힘입어 상승세를 이어갔으나, 매스미디 어 등 테마주의 약세로 상승폭이 제한됐다. 오후 장 들어 거래량이 급증하며, 대형주  강세가 지수의 상승을 주도했다. 지난 주 발표된 매크로 지표의 호조로 시장참여자들 의 투자심리가 대폭 개선됐다. 상하이와 션전거래소의 거래량은 2,400억 위안을 상회 했으며, 경기민감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최근 달러의 약세, 부동산투자 급증, 올해  중국의 고온현상과 물 부족 등으로 석탄관련주가 8%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 편 국무원은 에너지절약 및 환경보호 산업의 생산액이 매년 평균 15% 이상 증가하고  2015년까지 총 4.5억 위안에 달해 국가의 주요 산업이 될 것이라 발표했다. 업종별로  는 석탄, 금융 등의 상승폭이 두드러졌고, 인쇄포장업만이 1%이상 하락했다.

0 추천

실시간 의견

불러오는 중... 더보기

새 내용 확인중... 더 이상 불러올 의견이 없습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추천 조회 날짜
235 이탈리아 '세금폭탄' 1위.. 연봉 49%가 세금 2311 14.03.04
234 부동산...쫄았나? [1] 2538 14.02.19
233 테이퍼링 지속은 완만한 경제 개선 의미 2473 14.02.11
232 급락, 일시적 둔화, 장기적 추세는 유효하다고 판단 2563 14.02.05
231 글로벌경기 둔화국면? 소순환 흐름속에 있다고 판단. 2138 14.02.04
230 2월 증시 전망 및 Sector Strategy - 안도감에 기반한 랠리? 위기는 기회인가? 2588 14.02.03
229 글로벌 수요의 더딘 회복 - 급격한 반등세 등 변동 가능성은 낮아 2230 14.01.07
228 1월 증시 전망 및 Sector Strategy - 글로벌 경기개선 기대감에 따른 위험자산으로 자금이동 예상 2549 13.12.30
227 불확실성 해소 - 글로벌 경기개선 인식 확산으로 기대감 반영 2669 13.12.19
226 12월 FOMC의 선택 - 테이퍼링 조기 실시 가능성 낮아 2830 13.12.16
225 2014년에 대한 기대감 반영으로 12개월 Forward PER 밴드의 상단이 높아졌다. 2396 13.12.03
224 경기개선 기대감 반영 중? 1942 13.11.26
223 주요국 금융완화정책과 미 연말 소비증가에 대한 기대로 위험자산 선호 2423 13.11.26
222 테이퍼링 이슈 재점화 - 추세전환보다는 단기 조정일 가능성 2335 13.11.13
221 주간경제 전망 2080 13.11.10
220 중국 3중전회 - 안정성장을 위한 정책추진과 영향 2340 13.11.09
219 밸류에이션 수준, 인플레이션 및 경제 상황 고려 시, 글로벌 주식시장은 버블은 아니라는 판단 2288 13.11.05
218 11월 증시 전망 및 Sector Strategy - 글로벌 유동성 보강 가능성 높아 2149 13.11.03
217 미국 자산매입 유지 불구, 경제 회복 수준은 느리게 진행 중 2311 13.10.31
216 환율의변동 2104 13.10.28

새 글쓰기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